앞서서 배운 교착상태 방지, 회피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교착상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탐지, 회복 알고리즘이 필요합니다. 1. 교착상태(Deadlock) 탐지 : 탐지 알고리즘은 교착상태가 얼마나 자주 일어나는지, 교착상태가 발생하면 몇 개의 프로세스가 연루되는지를 고려해야 합니다. 교착상태가 자주 일어난다면 탐지 알고리즘도 자주 돌려야하는데, 시간이 오래 지나면 못 쓰는 리소스가 묶이고 연루되는 스레드의 수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교착상태가 일어나는 시점 = 어떤 스레드의 자원 요청이 만족되지 못하는 시점 입니다. 극단적으로 스레드의 요청이 만족되지 못할 때마다 탐지 알고리즘을 돌리는 방법도 있습니다. 1) 각 Resource type이 한 개씩만 있는 경우 : 대기 그래프(wait..